2010년 11월 30일 화요일

올리비아의 매력에 빠지다.

Olivia - Olivia Olivia - Olivia
Olivia | PONY CANYON | 20100928
평점
상세내용보기
| 리뷰 더 보기 | 관련 테마보기

보사노바 여신.

사실 음악 장르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특히 보사노바에 대해선. 가끔 재즈를 할때 보사보바라는 말을 들어본 정도.

 

보사노바를 사전에서 찾아보면,

“ 가사와 곡조가 모두 지적이며 차분한 경향을 띠고 있다. 보사노바란 '새로운 경향' '새로운 감각'을 뜻하는 포르투갈어이다. 1952년경부터 브라질에서 싹트기 시작했으나 조니 알프가 스타일을 만들고, 1955년 안토니오 카를로스 조빔이 빌리브랑코와 공동으로 내놓은 최초의 보사노바 《태양의 찬가》가 발표됨으로써 일약 유명해졌다.
조빔은 다시 가수 주앙 질베르토 등과 함께 보사노바를 보급시켜 1958년경에는 브라질의 포퓰러음악계를 주도하였다. 1960년대에 들어서는, 다른 나라에서도 모던재즈 연주자들의 대부분이 이 리듬으로 연주하게 되고 마침내 세계적인 유행을 가져왔다. ”

[출처] 보사노바 [bossa nova ] | 네이버 백과사전

 

사실 음악을 고를때, 아는 사람이 아닌 경우 표지를 보고 고르는 경우가 많다.

이번 경우도 이쁜 얼굴, 약간 이국적인 모습에 빠져 음악을 들어보게 되었다.

사진101113_000

 

대게 팝송의 경우 외국에서 인정 받은 음반들이 많아서 그냥 기분 내키는데로 골라도 실패하는 경우가 적다.

특히 이런 문구를 보면 더욱 그렇다.

이미 5장의 정규 앨범에 아시아 최고의 보사노바로 인정받는다는데, 그 정도의 내공의 음악이 어떨지 궁금해서 앨범을 만지작거리다 듣기로 결심했다.

그러고 보니 이전에 리사오노의 음악을 들었는데, 제 2의 리사오노로까지 불리는 정도이니 음악적 재능은 이미 검증 받은거겠지.

 

사진101113_002

 

마치 우리나라 소녀를 보는 것 같으면서도 이국적인 느낌이 나는게 왜일까 궁금했는데, 찾아보니 일본에서 활동하는 싱가포르 출신이네.

어쩜 이쁜데 노래도 이렇게 잘하는지..

 사진101113_001 

 

보사노바의 여신의 타이틀에 맞게 노래가 전반적으로 차분하고 듣기에 편했다.

요즘같은 겨울 날씨에 따뜻한 방에서 커피를 마시면서 가볍게 즐길 수 있음직했다.

 

팝송을 듣다보니 어디서 많이 들어본 노래들이 흘러나왔다.

특히 ‘Never can Say Goodbye’ 흠. 전에 들어본 것 같은데.. 이제 보니 Jackson의 노래랑 같네.

서로 같은 노래를 감미로운 목소리로 다시 들으니 또 다른 느낌으로 다가온다.

 

사진101113_003

 

보사노바의 재즈 느낌은 아마도 ‘You and Me’에서 가장 잘 느낄 수 있지 않을까?

이 곡이 타이틀 같은데, 아직까지도 소녀의 목소리가 남아있는 이 노래.

마치 소녀가 사랑 고백하는 듯한 목소리를 듣고 있음 왠지 모르게 기분이 좋아지는데, 후반부 후렴부가 특히 마음에 든다.

‘You and Me’에서 말하는 것과 같은 이쁜 사랑을 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사진101113_004

 

‘You and Me’ 작고 아기자기하고 사랑스러운 느낌이라면

‘Stars’는 사랑을 이루고자 하는 간절한 마음이 든다고나 할까?

약간의 허스키한 목소리의 애절함을 듣고 있음 정말 내 마음까지도 저려온다.

Youll never know how
much you hurt me
Stay a minute cant you
see that I...

 

사진101113_005

 

그외에도 음악 하나하나 그냥 흘려버릴 노래가 없는 듯.

특히 Luka도 이전에 나왔던 Suzanne Vega의 음악을 각색한 것 같은데, 가사를 보면 왠지 마음에 아프다.

특히 어린 소녀가 학대 받으면서 외치는 소리 같아서 더 그런것 같기도.

 

사진101113_006

 

올리비아의 목소리로 다양한 이전 유명한 노래를 다시 들을 수 있어서 좋았고, 특히 그녀의 이쁜 모습을 보고 있음 왠지 모르게 기분이 좋다.

5집 음반이라고 하는데, 이전 음반들도 찾아서 들어봐야겠다.

 

사진101113_007

 

사진101113_008



 

 



이글은 "인터파크도서"에서 작성되었습니다.

2010년 11월 24일 수요일

천국은 다른 곳에

천국은 다른 곳에 천국은 다른 곳에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Mario Vargas Llosa), 김현철 | 새물결 | 20101012
평점
상세내용보기
| 리뷰 더 보기 | 관련 테마보기

2010년 노벨문학상이라는 타이틀이 내 호기심을 자극했다

여러번 노벨 문학을 도전했던 시인 고은을 물리치고 노벨 문학상을 받은 바르가스 요가.

과연 노벨 문학상의 책은 어떤건지 궁금하기도 했고, 페루라는 낯선 곳이 그 궁금증을 더 불러일으켰다.

 

지금껏 많은 책을 읽었지만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글이 쉽게 읽혀지지 않았다.

아마도 560 페이지라는 방대한 분량 때문일지도.

 

아니면 내가 단순하게 그림으로만 알고 있던 폴 고갱의 새로운 모습에 충격을 받았을수도. 사실 폴 고갱에 대해서 아는 것이 전혀 없다. 고등학교 시절 미술책에서 본 그림 몇점이 대부분이니까. 이 책을 읽으면서 과연 폴 고갱이 그렇게 생각했을까? 아니 그렇게 행동했을까라는 의구심이 들었다. 너무나도 천방지축처럼 자유로운 영혼으로 살아가는 모습이 한편으로는 부럽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웠다.

그에 반해 그의 할머니 플로라는 마치 프랑스의 잔다르크를 보는 듯한 인상으로 폴 고갱과는 너무나도 대비적인 삶을 살아서 과연 이 둘이 혈육으로 이루어진 관계가 맞는지 의심이 들 정도였다.

 

이처럼 이 책은 예술과 정치에서 가장 극단에 서 있다고 할만한 폴 고갱과 그의 외할머니 플로라의 이야기이다. 자신의 정치적인 신념을 위해서 어떤 역경과 고난 속에서도 프랑스 전국을 돌아다니며 노동조합 창설에 힘을 썼고, 그의 손자 고갱은 프랑스의 죽어있는 예술을 증오하며 신천지 새로운 세계에서 그가 추구하는 예술을 찾고 그림을 그리기 위해서 온갖 배고픔과 어려움을 이겨내고 있다.

 

얼마전에 읽은 IQ84처럼 폴과 플로라의 이야기가 교차로 진행되면서 두 사람의 인생에 대해서 이야기 흘러가듯 보여주고 있다. 과연 그들이 추구하는 천국은 자신들이 살아 생전에는 가지 못했지만 그곳에 가려고 하는 그들의 열정만은 정말 존경할만하다.

 

천국이란 곳 자체가 이 세상에서는 갈 수 없는 곳이 아닐까? ‘천국은 다른 곳에’라는 제목에서 보듯 꿈이라는 것은 이루지 못했기 때문에 더 간절하고 그리는 곳이지 이미 현실이 되어버리면 그건 더 이상 꿈이 아니겠지.

그래서 그들이 말하는 이 한마디가 지금도 더 절실하게 느껴지는 건지도 모르겠다.

 

“그런 곳은 세상 어디에도 있을 수 없단 말이야. 우리가 사는 이곳에서 이 세상의 불완전함에 맞서 싸워야 하는거야”



이글은 "인터파크도서"에서 작성되었습니다.

2010년 11월 16일 화요일

하늘에서 본 지구

하늘에서 본 지구 하늘에서 본 지구
얀 아르튀스-베르트랑(Yann Arthus-Bertrand) | 새물결 | 20040531
평점
상세내용보기
| 리뷰 더 보기 | 관련 테마보기

처음 경비행기를 타고 바다 위를 날아오르면서 아래를 바라볼때의 그 감동을 아직도 잊을 수가 없었다.

눈높이에서 보던 세상이 완전히 달라보이는데, 직접 그걸 보지 않곤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데

이런 비슷한 감동을 느낄 수 있는 책이 나왔다.

사진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좋아할 책일듯.

8만원이 넘는 가격과 두꺼운 부피가 조금 부답스럽긴 했어도 막상 책을 한장 넘겼을때의 그 감동은 내가 하늘에서 바라보는 것과 비슷했다.

최근 이 책을 새롭게 revised한게 나왔는데 http://www.amazon.com/New-Earth-Above-Days-Revised/dp/081098461X/ref=sr_1_1?s=books&ie=UTF8&qid=1289978054&sr=1-1 가격이 20달러 밖에 하지 않는데, 무려 700장이나 있는 것 같아서 고민이다.

이전 책이랑 얼마나 일치하고 새로운 내용이 많을까? 왜 가격은 1/4밖에 안하는거야. =.=

막상 책을 찾아보면 비슷한 책들도 많이 있다.

하늘에서 본 대한민국도 어떨지 궁금하다.

하늘에서 지구를 바라보면 어떤 생각이 들까? 가끔 고층 빌딩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면 현기증이 나기도 하지만 장난감 같은 세상이라는 생각이 드는데.

이런 조그마한 곳에서 서로 아둥바둥 사는 모습이란..

자신이 그 좁은 공간에서 발버둥치면서 사는지 알게 되면서 조금은 초라해지기도 하고.

사진을 보면서 이런 책들은 정말 소장가치가 있는 것 같다.

 



이글은 "인터파크도서"에서 작성되었습니다.

사람은 왜 늙는가

사람은 왜 늙는가 사람은 왜 늙는가
디팩 초프라(Deepak Chopra), 이균형 | 휴(休) | 20100816
평점
상세내용보기
| 리뷰 더 보기 | 관련 테마보기

20대에서 30대로 숫자만 바뀐 셈인데 부쩍 늙었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나이 많은 분들이 보면 정말 어의 없어 하시겠지만, 그래도 이젠 나이와 몸에 대해서 좀더 진지하게 고민해야할 시기가 아닐까?

자연스럽게 노화, 늙는 것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면서 ‘사람은 왜 늙는가’를 읽게 되었다.

진시황이 불로초를 찾듯 이 책을 통해 우리가 알고 있는 노화에 대한 상식과 편견을 뒤집음로써 노화를 극복 혹은 정복할만한 답을 찾고자 했다.

실제 우리 주변에는 나이가 어림에도 엄청 늙어보이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70대가 넘었는데도 신체 지수는 20대 보다 낫다는 사람이 있다.

이 책에서도 말하는 것처럼 우리가 알고 있는 노화에 대한 일방적 가설이 맞지 않다고 주장한다.

명상을 통해 바람직한 웰에이징 메뉴얼을 습득한다면, 육체, 정서 그리고 영적으로 젊음을 유지할 수 있다니 귀가 솔깃하다.

결국 건전한 정신에 건강한 신체가 나올 수 있다는 가장 기본적인 진리를 다시 한번더 깨닫게 되는 책이다.

매일 긍정적으로 살고, 매일매일을 새로운 선물, 삶에 대한 축복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만 있다면, 건강해질 수 있다는것인데, 피닉스 강좌에서 제일 중요한 것이 마음의 평화라고 했는데 일맥 상통하는듯.

비록 과학적으로 보이진 않아도 이 책에서 긍정적인 면을 발견하고 이를 내 것으로 받아들인다면, 그리고 그것을 통해 정신이 맑아지고 몸이 좋아진다면 이 책 값은 충분히 하지 않을까?



이글은 "인터파크도서"에서 작성되었습니다.

NEW 50 SIMPLE THINGS YOU CAN DO TO SAVE THE EARTH

지구를 살리는 방법 50 지구를 살리는 방법 50
존 자브나(John Javna), 소피 자브나(Sopie Javna), 제시 자브나(Jesse Javna) | 물병자리 | 20100320
평점
상세내용보기
| 리뷰 더 보기 | 관련 테마보기

No impact man을 읽으면서 뉴욕 한복판에서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살 수 있구나라는 생각을 했지만 막상 내가 그것을 하라고 하면 선뜻 하기 힘들었다.

처음엔 노임팩트맨 정도는 아니더라도 우리가 할 수 있는 작은 활동을 시작해야지 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원래 상태로 돌아왔는데, 최근 제인 구달의 강연회를 들으면서 다시 한번더 환경에 대해서 생각하게 되었다.

그의 활동으로 시작한 ‘뿌리와 새싹’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면서 내가 과연 뭔가를 해야하지 않나라는 생각이 다시 들면서 원래부터 가지고 있던 의문들이 다시 떠올랐다.

사람들도 환경이 중요한건 다 알고 있고, 이미 지겹도록 그것을 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사람들에게 자연 보호하라고 하면 ‘어떻게?’라는 질문부터 나올거다.

자연보호 운동가가 아닌 이상 한꺼번에 자신의 생활을 바꾸기 힘들텐데 그런 사람들을 위해서 자신있게 추천하는 이 책이 맘에 들었다.

새롭고 적극적인 지구를 살리는 방법 50가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하나밖에 없는데, 마치 수십개가 있는 것처럼 막 사용하고 더럽히는데, 이젠 뭔가 반대로 행동을 해야하지 않을까?

매 chapter별로 각각 배경 지식을 알려주고, 재미있는 사실과 그림들도 호기심을 불러이으킨 다음, 우리가 할 수 있는 간단한 행동들에 대해서 알려주고 있다. 정말 이건 할 수 있겠네라는 것들이라 손쉽게 행동하면서 자부심도 느끼지 않을까?

50개 중 5개만 따라해도 세상을 달라질수 있다고 하니, 속는셈치고 한번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듯



이글은 "인터파크도서"에서 작성되었습니다.

링크

링크 링크
앨버트 라슬로 바라바시(Albert-Laszlo Barabasi), 김기훈, 강병남 | 동아시아 | 20021024
평점
상세내용보기
| 리뷰 더 보기 | 관련 테마보기

우연히 인턴을 하면서 학술 논문 검색 개발에 대한 이런저런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중에 하나가 cross domain인데, 우리가 지금 겪고 있는 문제를 완전히 다른 도메인에서는 이미 해결책이 있을 수도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한 것으로, 다른쪽 도메인에 있는 지식을 활용할 수 없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예전에는 전혀 불가능해보이는 이런 시도가 지금은 인터넷으로 연결된 링크를 이용해서 가능하게 되었다.

요즘 computer vision의 물체 인식에 가장 많이들 사용되는 bag of words는 실제로 문서 클러스터링에서 많이 활용되는 방식이었다.

학술뿐만 아니라 이젠 모든것들이 상당히 얽히고 억매여있다는 생각이 든다.

facebook이나 트위터로 조금만 다리를 거치면 세계 어떤 사람이랑도 연결되고, 싸이에선 서로 몇촌인지 자동으로 계산도 해준다.

이렇듯 링크로 사람, 문서, 경제 등이 엮여있는데, 이러한 네트워크가 어떻게 발생을 했고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링크’에서 잘 설명해주고 있다.

특히 미국발로 시작되는 경제 위기가 어떻게 전세계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세포 안의 네트워크를 연구해서 신약을 개발하는 사례 등을 보면 모든 것들이 이런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는걸 알게 된다.

막상 네트워크라면 어려울수도 있고, 컴퓨터 전공이라면 이미 친숙할수도 있지만, 이 책은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이라 누구나 볼 수 있지 않을까?



이글은 "인터파크도서"에서 작성되었습니다.

2010년 11월 12일 금요일

일기예보 믿을까 말까?

일기예보, 믿을까 말까? 일기예보, 믿을까 말까?
유영미, 박정규, 예르크 카헬만(Jorg Kachelmann), 크리스토프 드뢰서(Christoph Drosser) | 뜨인돌 | 20100903
평점
상세내용보기
| 리뷰 더 보기 | 관련 테마보기

우리나라 기관 중에서 기상청만큼 사람들에게 욕을 들어먹은 기관이 또 있을까?

우리나라에서 제일 성능이 좋은 수퍼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으면서도 매번 잘못된 일기예보로 엄청난 욕을 들어먹는데, 아마 최근 하일라이트는 추석때 서울에 내린 홍수로 인해 시골집에 내려갔다가 갑자기 사람들이 서울로 올라와야했던 일이 아닐까?

일기예보. 아마도 밑져야 본전인것 같다. 일기예보 잘해서 매번 맞추면 사람들은 의례 그런듯 별 생각없이 지내다가, 한번만 틀리면 기상청을 거의 벌집 쑤시듯 야단을 치니.

엄청난 노력을 들이는데도 그날 당일 일기예보도 제대로 못맞추는 경우가 생기는걸까?

이러한 호기심을 해결해주는 책이 바로 이 ‘일기예보 믿을까 말까?’이다.

사실 아직 우리는 기후에 대해서 모르는것이 많다.

구름을 예로 들어보면, 구름이 단기 기후 예측에 중요한 지표가 되긴 하지만, 장기적인 기후 변화를 내다보는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아직 알려진 것이 없다. 예를 들어 구름은 두툼한 온실가스 담요로 지구를 데우는 온난화의 주범이 될까? 아니면 햇볕을 우주로 반사시켜 온난화를 막아주는 구세주로 등장할까?

벼락과 번개의 차이는?

우리가 알고 있는 기후에 관한 상식은 사실일까? 제비가 낮게 날면 비가 내릴까? 달무리는??

이런 일기예보에 관한 호기심을 과학적으로 설명해주고 있어서 일기예보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우리들에게 꼭 필요한 상식을 제공해주고 있다.

이 책을 읽고 있으니, 옛날 소풍이나 수학여행 가기 일주일 전부터 뉴스 시간만 되면 앞으로 달려가 놀러가는날 날씨를 보고 비가 오면 어쩌나 걱정하던게 생각나네.



이글은 "인터파크도서"에서 작성되었습니다.